“한 달 ‘취미 허용 한도’는 얼마인가 – 그리고 게임 BM은 거기서 몇 %인가

profile_image
주인
댓글 0 | 조회 116
69e028366e819e0a8d672b56d1071e12a96af464jqig.png

 

0. 왜 취미 비용부터 이야기하냐

우리가 만들려고 하는 서비스의 목표는 간단하다.

“이 게임은 플레이어에게 월 얼마를 강요하나?”

이걸 감정적으로 ‘악질 BM’이라고 욕하는 게 아니라, 숫자로 보여주자는 거다.
근데 그 숫자를 공중에 뜬 채로 던지면 안 된다.
“월 5만 원이면 비싸냐, 싼 거냐?” 이건 결국 기준의 문제라서, 먼저 한국인이 한 달에 취미/여가로 평균 얼마를 쓰는지를 잡아둬야 한다. 그래야 우리가 나중에 “부담률”이라는 객관식 숫자를 만들 수 있다. 이 글은 그 기준선을 세팅하는 작업이다.


1. 한국 사람은 취미·여가에 한 달에 얼마나 쓰고 있을까?

공식 통계로 보면 두 가지 축이 있다.
(1) 개인 단위로 ‘내가 한 달에 여가에 쓰는 돈’,
(2) 가구 단위로 ‘우리 집이 한 달에 문화/오락에 쓰는 돈’.

  •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발표한 ‘국민여가활동조사’에 따르면 우리 국민이 여가 활동에 쓴 비용은 월평균 약 18만7,000원(2024년 조사치)이다. 이 금액은 전년인 2023년의 약 20만1,000원보다 줄었다고 발표됐다. 물가 부담 때문에 여행·공연 같은 비싼 활동 대신 TV·모바일 영상 시청 같은 저비용 취미로 이동했다고 설명한다.

  • 국가데이터처(구 통계청)의 가계동향조사에서 보면, 2024년 한 해 기준 가구당 월평균 전체 소비지출은 약 289만 원이었고, 이 중 ‘오락·문화’에 해당하는 지출이 약 21만6,000원 수준이라고 공개됐다.

    • 즉 가구 기준으로 보면 한 달에 대략 20만 원 안팎이 문화·여가 쪽으로 나간다. 이건 전체 소비지출 중 약 7~8% 정도로 추정된다(289만 원 중에서 21만6,000원이니까). 이 비중은 우리가 “취미 영역은 생활비에서 이 정도 몫을 차지한다”고 이해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. 이건 위 통계 수치를 바탕으로 한 추정이다.

정리하면 이렇게 말할 수 있다:

“평균적인 한국인은 ‘취미/여가’에 한 달 대략 18만~22만 원 정도를 쓰는 게 보통 범위다.”

이 숫자(대략 20만 원)를 우리는 앞으로 **‘안전한 월 취미 예산’**이라고 부를 거다. 이게 기준선이다.


2. 취미에도 계급이 있다: 고급 취미 / 중간 취미 / 서민 취미

우리 일상에서 취미는 사실상 세 레벨로 나뉜다. (돈이 다 한다…)

2-1. 고급 취미(라운딩, 하이엔드 캠핑, 장비취미 등)

여기엔 골프, 감성캠핑(장비맛집), 고급 카메라/자전거 같은 ‘장비빨 취미’가 들어간다.

골프

  • 한국레저산업연구소 ‘레저백서 2025’에 따르면 2025년 5월 기준 국내 대중형 골프장(18홀 이상) 주중 평균 그린피는 약 17만400원, 주말은 약 21만4,000원 수준이다. 회원제 골프장의 비회원 요금은 주중 21만3,500원, 주말 26만5,100원까지 간다고 한다. 

  • 만약 주말 기준 21만4,000원짜리 라운딩을 한 달에 4번만 나간다고 치면, 그건 21만4,000원 × 4 = 85만6,000원이다. 이 금액만으로 이미 평균 취미 예산(약 20만 원)의 4배 이상을 쓴다. (우리가 계산한 85만 원대는 위 주말 평균 그린피를 단순히 4번 곱한 값이다.) 

캠핑

  • 요즘 캠핑은 그냥 돗자리 수준이 아니라, 감성 텐트·랜턴·난방 시스템까지 풀 세트로 가는 문화다. 실제로 입문용 풀세트(텐트, 조명, 화로 등)를 “200만 원 안쪽 패키지” 식으로 묶어서 파는 경우가 흔하고, 150만 원대 세트로 ‘초보도 바로 차박 가능’ 같은 식으로 팔린다는 얘기가 업계/커뮤니티에서 계속 나온다. 

  • 프리미엄 텐트(면 텐트, 사계절용, 감성 캠핑용)는 텐트 하나가 100만 원 넘는 경우도 일반적이다. 한국레저산업연구소 관련 인용과 2025년 7월 기준 시장 비교 글들에서는 프리미엄급 면 텐트가 약 90만~120만 원대 이상으로 언급된다.

  • 즉 캠핑은 “장비만 한 번 사고 끝”이 아니라, 처음에 몇십만~몇백만 원이 한 방에 나가고 이후에도 차박 장비, 히터, 빔프로젝터 등 업그레이드 욕구가 계속 생기는 구조다. (그리고 글램핑이나 캠핑장 1박이 주말 기준 10만~15만 원대라는 사례도 꽤 있다.) 

카메라 / 자전거

  • 요즘 유튜브·인스타용 퀄리티를 위해 많이 사는 풀프레임 미러리스(예: 소니 a7C II)는 바디만 240만~260만 원대 선에서 거래된다. 

  • 입문용 로드자전거도 ‘괜찮다’ 소리 들으려면 보통 수십만 원이 아니라 최소 수백만 원(시마노 105급 등)까지 바로 올라간다는 얘기가 온라인 커뮤니티와 쇼핑몰에서 반복되는 분위기다. 실제로 105급 기반 입문 로드도 50만~70만 원대를 ‘가성비’로 강조하고, 그다음 단계로 100만~150만 원 이상 모델을 추천하는 식이다. 

요약하면, 고급 취미 구간은 초기 진입비 자체가 수십~수백만 원, 그리고 유지비/라운딩비가 월 80만 원 이상도 그냥 나오는 세계다. 골프만 봐도 우리나라 평균 취미 예산(20만 원 근처) 대비 부담률이 400%를 훌쩍 넘는다. 

이 영역은 사실상 계급형 취미다. 있는 사람들, 혹은 접대/비즈니스 네트워크가 필요한 사람들만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하다.


2-2. 중간 취미(헬스장, OTT, 영화관, 카페 라이프)

여긴 “도시 직장인 루틴” 같은 쪽. 부담은 되지만 골프급처럼 미친 건 아니다.

헬스장/피트니스

  • 국내 헬스장 시장은 요즘 ‘월 구독형’을 앞세운 저가 체인이 늘면서 가격 투명화 경쟁 중이다. 업계 인터뷰 기준으로 일반 헬스장 월 이용료는 보통 6만~7만 원대, 비싼 곳은 10만 원대, 장기 결제나 특가로 내려가면 월 3~4만 원대까지 나오는 경우도 있다고 소개된다(2025년 8월 기사). 

OTT (넷플릭스 예시)

  • 넷플릭스 한국 요금(2025년 기준)은

    • 광고형 스탠다드: 월 7,000원

    • 스탠다드: 월 13,500원

    • 프리미엄: 월 17,000원
      광고형 요금제는 2025년 5월에 5,500원 → 7,000원으로 인상됐다. 

영화관

  • 주요 멀티플렉스(CGV 등)에서 일반 2D 영화 관람료는 평일 낮 시간대 13,000~14,000원, 주말은 15,000원 수준까지 올라와 있다(2025년 기준 시간대별 요금표). 

  • 즉 혼자 주말에 영화 2편만 봐도 약 3만 원 가까이 나간다. 데이트나 친구랑 팝콘 세트까지 사면 월 수만 원은 순식간이다. (팝콘·음료 콤보가 만 원대라는 얘기도 있다.) 

카페(‘카공’/카페투어 문화)

  • 아메리카노 한 잔 가격은 양극화가 심하다. 저가 프랜차이즈(매머드커피·메가커피 등)는 아이스 아메리카노가 1,200~2,000원대도 찍는다. 반면 스타벅스·폴바셋 같은 프리미엄 브랜드는 4,700원대까지 올라갔다(2025년 1~6월 인상 사례 포함). 

현실적으로 보면, “헬스장(6~7만)+넷플릭스(1.35만)+주말 카페 투어 몇 번(2만 정도)+영화 두 번(약 2.8만)” 이런 생활형 취미 패키지는 한 달에 대략 13만 원 내외 선에서 형성된다.
이건 위에서 잡은 ‘한국인 월 취미 예산’(약 18만~22만 원) 안에 충분히 들어온다. 

이 층위는 “일반적인 직장인/대학생도 어떻게든 유지 가능한 취미 구간”이라고 볼 수 있다. 큰돈은 아니지만, 그래도 ‘취미비=생활비에서 무시 못 하는 고정 지출’인 게 체감되는 레벨.


2-3. 서민 취미(게임, PC방, 스트리밍, 집콕형 여가)

이제 게임이다.

PC방

  • 한국콘텐츠진흥원 ‘2024 대한민국 게임백서’에 따르면 2023년 기준 PC방 회원 평균 시간당 요금은 약 1,178원이었다. 2019년(1,014원)보다 약 16% 올랐다고 한다. 

  • 하루 2시간씩 한 달 30일이라고 치면 60시간이니까, 1,178원을 60번 쓰면 한 달 약 7만 원 안쪽으로 PC방에서 버틸 수 있다. 이건 골프 한 번 나가는 값보다도 훨씬 작다. 

모바일 게임 결제

  • 국내 모바일 게이머들의 월평균 인앱 결제액(‘0원 쓴 사람은 제외’하고 계산한 값)은 약 3만7,360원 수준이라는 분석이 2025년 10월 공개 자료에서 나왔다. 특히 30대 유저는 평균 4만 원대 결제를 하고 있다는 얘기까지 나왔다.

    • 중요한 포인트: 이건 “돈을 한 번이라도 쓰는 사람만 따로 잡은 평균”이다. 진짜 많은 사람은 여전히 ‘완전 무과금’이다. 즉 ‘하고 싶으면 공짜로도 가능한 취미’라는 게 게임의 강력한 특징이다.

집에서 즐기는 OTT/스트리밍

  • 위에서 본 OTT(넷플릭스 광고형 7천원~스탠다드 1만3,500원)까지 합치면, “PC방 조금 + 모바일게임 소과금 + OTT” 조합으로도 한 달을 10만 원대 초반 정도로 놀 수 있다.

이 영역의 특징은 세 가지다.

  1. 장비 진입장벽이 낮다.

    • 스마트폰은 이미 다 가지고 있다.

    • PC방은 시간당 1,000원대라서 고성능 PC를 안 사도 된다. 

  2. 이동·시간 부담이 적다.

    • 골프장까지 차 몰고 나갈 필요 없고, 캠핑처럼 짐 싣고 장비 펴고 철수할 필요도 없다. 

  3. “나 혼자”로 충분히 완성된다.

    • 캠핑은 최소 둘 이상(차도 필요하고), 골프는 동반자/조인 문화가 사실상 필수인데 비해 게임은 집, 심지어 침대 위에서 끝난다. 

결국 게임은 **“누구나 쉽게, 적은 유지비로 꾸준히 즐길 수 있는 취미”**라는 인식이 어느 정도 근거가 있다.
특히 우리가 기준선으로 잡은 ‘월 취미 예산 약 20만 원’과 비교하면, 가벼운 게이머(소과금 or 무과금)는 그 한도 안에 아주 여유 있게 들어온다. 


3. 숫자로 정리한 ‘취미 계급도’ (한눈 비교용)

아래 금액들은 위 통계와 시장 공개가로부터 단순 계산/가정한 그림이다. 실제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는 점은 전제하고 보자.

  • 하이엔드 골프러

    • 주말 그린피 평균 약 21만4,000원 × 월 4라운드 ≈ 85만6,000원/월.

    • 이건 한국 평균 취미 예산(약 20만 원)의 4배 이상이다. 즉 부담률이 400%대를 훌쩍 넘는다는 뜻.

  • 일반 직장인 취미 패키지

    • 헬스장(6~7만 원) + 넷플릭스 스탠다드(1만3,500원) + 주말 카페 & 영화 몇 번(약 4~5만 원대)

    • 합치면 대략 13만 원 정도. 이건 평균 취미 예산 안(20만 원 근처)에 무난히 들어온다. 

  • 게이머 패키지

    • PC방 한 달 약 7만 원대(하루 2시간 가정) + 모바일게임 소과금층 평균 결제 약 3만7천 원대 + 넷플릭스(1만3천 원대).

    • 대충 12만 원 정도에서 놀 수 있다. 이 역시 평균 취미 예산 안쪽이다. 

여기서 중요한 포인트 하나:

  • 골프식 고급 취미는 “1개의 취미”만으로도 이미 월 80만 원 이상이 그냥 나간다.

  • 반대로 게임/PC방/OTT 조합은 “이 모든 걸 다 합쳐도” 10만 원대 초반에서 멈춘다.

즉 게임은 분명 ‘돈 빨아먹는 악마’라는 이미지도 있지만, 동시에 “현대 한국에서 가장 싸게 스트레스 풀 수 있는 취미 중 하나”라는 사실도 같이 존재한다.


4. 그래서 이 데이터를 어떻게 게임 BM 분석에 써먹을 건가?

여기서 우리가 만들 서비스의 핵심 지표가 등장한다.
우리는 이걸 “부담률(%)”이라고 부르자.

공식은 이렇게 갈 수 있다:

부담률(%) =
(특정 게임에서 ‘경쟁 가능한 상태’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월 지출액 ÷ 한국 평균 월 취미 예산) × 100

설명하자면:

  • “경쟁 가능한 상태”는 그냥 만렙 고래(수백만 원 박은 계정)가 아니라, 상위권과 비교했을 때 실질적으로 놀 수 있는 수준(예: PVP나 엔드 콘텐츠에서 상위 플레이어 전투력의 80% 정도)에 도달하려면 현실적으로 한 달 얼마를 써야 하느냐를 의미한다.

  • 한국 평균 월 취미 예산은 위에서 잡은 약 20만 원대(국민여가활동조사 기준 개인 월평균 여가비 18만7,000원 / 가계동향조사 기준 가구 오락·문화비 약 21만6,000원)를 활용한다. 

이러면 아래처럼 한눈에 박을 수 있다:

  • 부담률 < 50% → “그냥 놀만 하다” (취미 예산 안에서 부담이 낮음)

  • 50% ~ 100% → “적당히 맵다” (한 달 취미 예산의 절반~전부를 이 게임 하나에 쏟아야 함)

  • 100% 초과 → “위험” (이 게임 하나만 해도 이미 평균 취미 한도를 넘어서버림)

전체 댓글 0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